본문 바로가기

자유게시판

  • 이질을 치료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방법[治痢要訣]
  • 등록일  :  2006.03.28 조회수  :  8,131 첨부파일  : 
  • 이질을 치료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방법[治痢要訣]

     


    이질을 치료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방법[治痢要訣]


     


    피를 잘 돌게 하면 곱똥을 누던[便膿] 것이 저절로 낫고 기를 고르롭게[調氣] 하면 뒤가 무직한 것[後重]이 저절로 없어진다[하간].


     


    ○ 이질을 치료하는 방법에 뒤가 무직한 데는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고 하였다. 그러므로 목향, 빈랑을 쓰거나 목향빈랑환(木香檳뽔丸, 처방은 기문에 있다)을 쓴다.


     


    ○ 배가 아프면 고르게[和] 하여야 하는데 집함박꽃뿌리(백작약), 귤껍질(陳皮)이나 작약감초탕(芍藥甘草湯, 처방은 배문에 있다)을 쓴다. 몸이 무거우면 습을 빼버리는[除濕] 것이 좋다, 그러므로 흰솔풍령(백복령)과 택사나 오령산(五뽼散,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)을 쓴다.


     


    ○ 맥이 현(弦)하면 풍을 헤쳐 버리는[去風] 것이 좋은데 진교, 방풍이나 패독산(敗毒散,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)을 쓴다.


     


    ○ 걸쭉한 피고름[膿血稠粘]이 나오면 약 기운이 센 약[重藥]으로 설사시켜야 한다. 그러므로 대황과 망초나 대황탕(大黃湯)을 쓴다.


     


    ○ 몸이 차고 저절로 땀이 나는 데는 성질이 뜨거운 약[熱藥]으로 따뜻하게 해야 한다. 그러므로 부자와 건강이나 장수산(漿水散)을 쓴다.  


     


    ○ 풍사(風邪)가 속으로 몰린[內縮] 데는 땀을 내는 것이 좋은데 마황, 구릿대(백지), 칡뿌리(갈근)나 마황승마탕(麻黃升麻湯, 처방은 혈문에 있다)을 쓴다.


     


    ○ 오리똥(鶩뼳) 같은 대변을 누는 이질에는 따뜻하게 하는 것이 좋다. 그러므로 육계와 목향이나 수자목향환(水煮木香丸)을 쓴다(이상의 것은 역로에 있다).  


     


    ○ 병이 표(表)에 있으면 발산시키고 이(裏)에 있으면 설사시키며 상초에 있으면 토하게 하고 하초에 있으면 설사시켜야 한다. 표에 열이 있으면 속으로부터 흩어져 나오게[솹之] 하고 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면 갈라져서 잘 나오게 해야 한다[역로].  


     



    ○ 그리고 성(盛)한 것은 고르롭게[和] 되게 하고 없애 버려야 할 것은 내보내고 지나치게 나가는 것은 멎게 해야 한다[역로].


     


    ○ 이질을 치료할 때 약 쓰는 방법으로 대변빛이 거머면[黑] 대황, 자줏빛[紫]이면 오이풀뿌리(지유), 벌거면[紅] 속썩은풀(황금), 멀거면[淡] 생강, 허여면[白] 육계, 누러면[黃] 찔광이(산사), 수설(水泄)에는 앵속각, 몹시 아픈 데는 목향과 산치자를 써야 한다고 하였다[입문].


     


    ○ 대체로 이질은 초기에 입효산을 한번 먹으면 낫는다. 또한 목향도기탕으로 독기를 없애 버리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[의감].


     



    ○ 이질을 치료할 때에는 반드시 성질이 찬약으로 열을 내리고 쓴 약으로 습을 말리며[燥濕] 맛이 약간 맵고 성질이 뜨거운[辛熱] 약을 좌약[佐]으로 더 넣어 발산시키고 잘 통하게 해야 한다. 그러면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것이 없다[하간].


     


    ○ 이질에 아교주, 당귀, 선귤껍질(청피), 벌건솔풍령(적복령), 황련으로 1첩을 만든 다음 여기에 오매와 진한 꿀(濃蜜)을 넣고 달여서 먹으면 궂은 것[惡穢積滯]을 말끔히 씻어 낼 수 있다. 이렇게 하여 뭉친 적이 없어지면 대변이 나가는 횟수가 저절로 적어진다[직지].  


     


    ○ 대체로 풍사를 헤치고[散風邪] 몰린 기를 잘 돌게 하며[行滯氣] 위의 작용을 좋게 하는[開胃脘] 것을 먼저 해야 한다. 갑자기 육두구, 가자, 흰삽주(백출) 등의 약으로 보하여 사기를 머물러 있게 하거나 앵속각, 용골, 굴조개껍질(모려) 등의 약으로 장위를 막아[閉澁腸胃] 오래 앓게 하지 말아야 한다. 배가 아프고 뒤가 무직한 것이 다 나은 다음에는 설사를 멈추는 약을 써야 한다.  


     


     


    입효산(立效散)
    피곱이 나오는 농혈리(膿血痢)로 배가 아프고 속이 당기며 뒤가 무직한 것을 치료하는데 한번만 먹어도 곧 낫는다.
    황련 160g(오수유 80g과 함께 물에 축여서 볶은 다음 오수유는 버린다), 지각(밀기울과 함께 닦은 것) 80g.
  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빈속에 술과 같이 먹는다. 이것은 열이 몰리고[熱積] 기가 쌓여서[氣滯] 생긴 이질도 치료한다. 황련은 열을 내리고[淸熱] 지각은 기가 쌓인 것을 흩어지게[破氣] 한다[의감].


     


    목향도기탕(木香導氣湯)
    이질의 초기에 배가 아프고 속이 당기며 뒤가 무직하고 피곱이 섞여 나오며 열이 나고 입을 꼭 다물고[뺜口] 있는 것을 치료한다.  
    대황 6g, 집함박꽃뿌리(백작약), 박초, 황련 각각 4.3g, 후박, 빈랑 각각 4g, 당귀 잔뿌리, 벌건솔풍령(적복령) 각각 3.2g.
  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[의감].